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최저임금 기준 주휴수당 지급 조건과 계산 방법

by 찌유니84 2025. 2. 1.
반응형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근로자가 일정 요건을 충족할 경우 주 1회 지급되는 유급휴일 수당입니다. 즉,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정해진 근무일을 성실히 출근하면 받는 추가 급여입니다.

 

 

2025년 최저임금 기준 주휴수당 계산

  • 2025년 최저임금: 10,030원(시간당)
  • 주휴수당 계산: 1일 근로시간 × 최저시급
    • 예) 하루 8시간 근무 시 → 8시간 × 10,030원 = 80,240원
  • 주휴수당을 포함한 월급 계산 (주 40시간 근무 기준)
    • 월 근로시간: (주 40시간 + 주휴 8시간) × 4.345주 = 약 208.56시간
    • 월 최저임금: 208.56시간 × 10,030원 = 2,091,726원

 

주휴수당 지급 조건

고용노동법에 따라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조건 1: 주 15시간 이상 근무

  •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 주 15시간 미만 근무자는 주휴수당 지급 대상이 아닙니다.

✅ 조건 2: 1주일 개근(결근 없이 출근)

  • 해당 주의 소정 근로일(근로계약서상 정해진 근무일)에 빠짐없이 출근해야 합니다.
  • 지각이나 조퇴는 가능하지만, 무단결근 시 주휴수당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예외적으로 병가, 경조사 등의 사유는 인정될 수 있습니다.

✅ 조건 3: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모두 지급 대상

  • 근로 형태에 관계없이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하면 지급됩니다.
  • 정규직뿐만 아니라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직원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을 못 받는 경우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주휴수당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무단결근이 있는 경우
🚫 주 15시간 미만 근무하는 경우
🚫 고용주와의 계약서에 주휴수당 관련 불리한 조항이 포함된 경우 (위법 가능성 있음)

 

 

주휴수당을 못 받았다면? (대처 방법)

근로자가 주휴수당 지급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지급받지 못했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사업주에게 정당한 지급 요청
근로계약서를 확인하여 주휴수당 지급 여부 검토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국번 없이 1350)에 신고

 

 

근로계약서 확인하기

 

 

주휴수당은 법으로 보장된 근로자의 권리입니다. 특히, 2025년 최저임금이 10,030원으로 인상되면서 주휴수당도 증가하므로, 본인의 지급 조건을 확인하고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